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시냅스 가소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시냅스 가소성은 시냅스가 활동에 반응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강화되거나 약화되는 능력으로, 학습과 기억의 신경 화학적 기초로 여겨진다. 단기 가소성과 장기 가소성으로 나뉘며, 단기 가소성은 수십 밀리초에서 수 분 동안 작용하여 시냅스 강화 또는 억제를 유발한다. 장기 가소성은 장기 억제(LTD)와 장기 강화(LTP)를 포함하며, LTP는 시냅스 연결을 강화하고 LTD는 약화시킨다. 이러한 가소성은 계산적 사용법을 가지며, 다양한 학습 및 기억 메커니즘에 기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경 회로 - 신경가소성
    신경가소성은 뇌의 구조와 기능이 경험, 학습, 손상에 따라 변화하는 능력이며, 시냅스 가소성, 구조적 가소성으로 나뉘어 뇌졸중, 학습 장애 등의 치료와 재활, 명상, 예술 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신경 회로 - 뇌파
    뇌파는 두피의 전극으로 뇌 신경세포의 전기적 신호를 기록하여 뇌 기능 상태를 파악하는 기술로, 주파수에 따라 분류되는 뇌파는 뇌 질환 진단, 인지 기능 연구,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기억 과정 - 신경가소성
    신경가소성은 뇌의 구조와 기능이 경험, 학습, 손상에 따라 변화하는 능력이며, 시냅스 가소성, 구조적 가소성으로 나뉘어 뇌졸중, 학습 장애 등의 치료와 재활, 명상, 예술 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기억 과정 - 스티븐 윌트셔
    스티븐 윌트셔는 자폐증을 가진 영국의 예술가로, 한 번 본 도시의 풍경을 기억만으로 상세하게 그려내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세계 각 도시의 파노라마를 그려 전시했다.
  • 생물학 - 균근
    균근은 식물 뿌리와 균류 사이의 공생체로, 식물에게 물과 영양분을 공급하고 식물은 광합성 산물을 제공하며, 농업, 산림 복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 생물학 - 생명
    생명은 환경 속에서 자기 유지, 증진, 강화를 하는 특징으로 정의되나 논쟁적이며, 항상성 유지, 세포 구조, 물질대사, 성장, 적응, 자극 반응, 생식 능력을 포함하고, 자기 복제와 진화로 유지되는 열린 열역학계로 설명되며, 기원은 약 40억 년 전으로 추정되고, 진화와 멸종이 공존하며, 바이러스, 외계 생명체, 인공 생명 연구가 진행 중이다.
시냅스 가소성
개요
영어 명칭Synaptic plasticity
상세 내용
관련 연구Hughes JR (1958년 1월). "Post-tetanic potentiation". Physiological Reviews. 38 (1): 91–113.
doi:10.1152/physrev.1958.38.1.91
PMID 13505117.
Gerrow K, Triller A (2010년 10월). "Synaptic stability and plasticity in a floating world". Current Opinion in Neurobiology. 20 (5): 631–9.
doi:10.1016/j.conb.2010.06.010
PMID 20655734.
S2CID 7988672.
Gaiarsa JL, Caillard O, Ben-Ari Y (2002년 11월). "Long-term plasticity at GABAergic and glycinergic synapses: mechanisms and functional significance". Trends in Neurosciences. 25 (11): 564–70.
doi:10.1016/S0166-2236(02)02269-5
PMID 12392931.
S2CID 17365083.
관련 개념시냅스 안정화
신경 가소성

2. 역사적 발견

1973년, 테르예 뢰모와 팀 블리스는 ''Journal of Physiology''에 게재된 논문에서 현재 널리 연구되고 있는 현상인 장기 강화(LTP)를 처음으로 기술했다.[32] 이 실험은 마취된 토끼의 해마 해마 치상 회의 관통로 사이의 시냅스에서 수행되었다. 그들은 관통로 섬유에 대한 강한 자극(100 Hz)이 이 섬유가 치상 회에서 시냅스를 이루는 세포의 시냅스 후 반응에서 극적이고 오래 지속되는 증가를 유발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같은 해에, 이들은 깨어있는 토끼로부터 기록된 매우 유사한 데이터를 발표했다. 이 발견은 해마가 특정 형태의 기억에 관여한다는 제안 때문에 특히 주목을 받았다.

3. 생화학적 기전

신경과학에서 시냅스 가소성은 시냅스가 활동의 증가 또는 감소에 반응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강화 또는 약화되는 능력을 말한다.[32] 기억에서 광범위하게 상호 연결된 신경 회로로 표현되는 것으로 가정되기 때문에, 시냅스 가소성은 학습과 기억의 중요한 신경 화학적 기초 중 하나이다.

시냅스 가소성의 분자적 기전에는 NMDA 수용체AMPA 수용체가 관여한다. 장기 강화(LTP, long-term potentiation)는 시냅스 후 Ca2+ 농도 증가와 단백질 키나아제 활성화와 관련이 있다. 반면, 장기 억제(LTD)는 낮은 Ca2+ 농도와 단백질 인산분해효소 활성화와 관련이 있다.[4]

2차 전달자 연쇄 반응은 유전자 전사를 조절하고 CaMKII 및 PKAII와 같은 주요 단백질 수준을 변화시킨다. 활성화된 단백질은 주어진 자극에 대해 국소적인 효과를 생성하도록 특정 위치에 한정되거나 구획화된다. NMDA 수용체로부터의 칼슘 유입은 CaMKII 활성화에 필요하다.[7] 이 기전은 단백질 인산화에 의해 유발될 수 있지만 더 오래 지속되어 장기 기억 저장 기전을 제공한다. LTP의 지속 시간은 이러한 2차 전달자의 분해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6]

두 뉴런 사이의 시냅스 연결 강도에 대한 장기적인 변화(장기적인 증강)는 시냅스 접촉의 생성 및 파괴를 포함할 수 있다. 액티빈 A와 같은 유전자는 초기 단계 LTP 동안 상향 조절된다. 액티빈 분자는 MAP-키나아제 경로를 통해 수상돌기 가시에서 액틴 역학을 조절한다. 수상돌기 가시의 F-액틴 세포 골격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가시 목이 길어져 전기적 절연이 증가한다.[8] 최종 결과는 LTP의 장기적인 유지이다.[9]

시냅스 후 막의 이온 채널 수는 시냅스의 강도에 영향을 미친다.[10] 연구에 따르면 시냅스 후 막의 수용체 밀도가 변화하여 자극에 대한 뉴런의 흥분성에 영향을 미친다.

시냅스 강도가 자극에 의해서만 강화되거나 약화되는 경우 양성 피드백 루프가 발생하여 일부 세포는 발화하지 않고 일부 세포는 너무 많이 발화하게 된다. 그러나 음성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시냅스 스케일링 및 메타가소성이라는 두 가지 조절 형태의 가소성도 존재한다.[13] 시냅스 스케일링은 뉴런이 발화율을 안정화할 수 있는 주요 기전이다.[16] 메타가소성은 가소성이 발생하는 임계값을 변경하여 LTP 및 LTD의 포화 상태를 방지한다.[17] 시냅스 스케일링은 뉴런이 다양한 입력에 선택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주요 기전이다.[18] LTP/LTD의 영향을 받고 스케일링 및 메타가소성에 의해 수정된 신경 회로는 헤비안 이론 방식으로 반향 신경 회로의 발달 및 조절로 이어지며, 이는 기억으로 나타난다.[19]

시냅스 가소성을 생성하기 위한 생화학적 상호 작용에는 위치의 중요성이 있다. 예를 들어 AMPA 수용체의 엑소사이토시스는 t-SNARE STX4에 의해 공간적으로 조절된다.[20] 특이성은 또한 나노 영역 칼슘과 관련된 CAMKII 신호 전달의 중요한 측면이다.[7] 수상돌기 가시와 축 사이의 PKA의 공간적 기울기 역시 시냅스 가소성의 강도와 조절에 중요하다.[6]

3. 1. NMDA 수용체와 AMPA 수용체의 역할

NMDA 수용체칼슘 이온(Ca2+)의 유입을 조절하여 장기적인 증강(LTP, long-term potentiation) 또는 장기 억제(LTD)를 유발한다.[4] 시냅스 후 세포의 강한 탈분극은 NMDA 이온 채널을 차단하는 마그네슘 이온을 완전히 변위시켜 칼슘 이온이 세포로 유입되도록 하여 LTP를 유발한다. 반면 약한 탈분극은 Mg2+ 이온을 부분적으로만 변위시켜 시냅스 후 뉴런으로 들어가는 Ca2+가 줄어들고 세포내 Ca2+ 농도가 낮아져 LTD를 유도한다.[4]

AMPA 수용체는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아제에 의해 인산화되어 양이온 전도를 개선함으로써 시냅스를 강화한다.[5] 또한 이러한 신호는 추가 수용체를 시냅스 후 막으로 모집하여 변형된 수용체 유형의 생성을 자극하여 칼슘 유입을 촉진한다.[5] 이는 주어진 시냅스 전 자극에 의한 시냅스 후 흥분을 증가시킨다.

시냅스 후 막의 수용체 밀도는 자극에 대한 뉴런의 흥분성에 영향을 미친다. 엑소사이토시스에 의해 NMDA 수용체AMPA 수용체가 막에 추가되고 엔도사이토시스에 의해 제거된다.[11][12][13] 실험에 따르면 AMPA 수용체는 NMDA 수용체를 통한 칼슘 유입에 의해 활성화되는 단백질 키나아제 CaMKII를 통해 소포체 막 융합을 통해 시냅스로 전달된다. CaMKII는 또한 인산화를 통해 AMPA 이온 전도성을 향상시킨다.[14] 고주파 NMDA 수용체 활성화가 있는 경우, AMPA 수용체에 대한 시냅스 용량을 증가시키는 단백질 PSD-95의 발현이 증가한다.[15]

3. 2. 2차 전달자

2차 전달자 연쇄 반응은 유전자 전사를 조절하고 CaMKII 및 PKAII와 같은 주요 단백질의 수준을 변화시킨다.[6] 2차 전달자 경로가 활성화되면 수상돌기 가시 내의 CaMKII 및 PKAII 수준이 증가한다. 이러한 단백질 키나아제는 수상돌기 가시 부피의 성장, AMPA 수용체의 원형질막 추가, 그리고 이온 채널 인산화를 통한 투과성 향상 등 장기적인 증강(LTP) 과정과 관련이 있다.[6] 활성화된 단백질은 주어진 자극에 대해 국소적인 효과를 생성하도록 특정 위치에 한정되거나 구획화된다. NMDA 수용체로부터의 칼슘 유입은 CaMKII 활성화에 필수적이다. 이 활성화는 국소적인 자극이 있는 가시에 한정되며, 인접한 가시나 축으로 퍼지기 전에 비활성화된다. 이는 단백질 활성의 특정 변화가 국소화되어 단일 수상돌기 가시의 반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중요한 LTP 기전을 보여준다. 개별 수상돌기 가시는 시냅스 전 세포에 대한 고유한 반응을 형성할 수 있다.[7]

이러한 두 번째 기전은 단백질 인산화에 의해 유발될 수 있지만, 더 오랜 시간 지속되어 장기 기억 저장 기전을 제공한다. LTP의 지속 시간은 2차 전달자의 분해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스포디에스터라아제는 고리형 아데노신 일인산(cAMP)을 분해하는데, cAMP는 시냅스 후 뉴런에서 AMPA 수용체 합성을 증가시키는 2차 전달자이다.

3. 3. 기타 기전

액티빈 A의 하위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액티빈 ß-A와 같은 유전자는 초기 단계 장기적인 증강(LTP) 동안 상향 조절된다. 액티빈 분자는 MAP-키나아제 경로를 통해 수상돌기 가시에서 액틴 역학을 조절한다. 수상돌기 가시의 F-액틴 세포 골격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가시 목이 길어져 전기적 절연이 증가한다.[8] 최종 결과는 LTP의 장기적인 유지이다.[9]

고주파 NMDA 수용체 활성화가 있는 경우 AMPA 수용체에 대한 시냅스 용량을 증가시키는 단백질 PSD-95의 발현이 증가한다.[15] 이것이 AMPA 수용체가 장기적으로 증가하고 시냅스 강도와 시냅스 가소성이 증가하는 원인이다.

4. 이론적 기전

신경과학에서 시냅스 가소성의 장기 증강(LTP)과 장기 억제(LTD)를 모두 설명하는 양방향 모델은 계산 신경과학, 신경망, 생물물리학 분야의 다양한 학습 메커니즘에 필수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러한 가소성의 분자적 특성에 대한 세 가지 주요 가설이 잘 연구되었으며, 어떤 것도 배타적인 메커니즘일 필요는 없다.

# 글루탐산 방출 확률의 변화.

# 시냅스 후 AMPA 수용체의 삽입 또는 제거.

# 인산화 및 탈인산화는 AMPA 수용체 전도도의 변화를 유도한다.

이 중, 마지막 두 가설은 최근 수학적으로 동일한 칼슘 의존적 역학을 갖는 것으로 연구되었으며, 이는 수용체의 총수가 보존되는 선형 모델에서 다음과 같은 가소성의 칼슘 기반 모델에 대한 강력한 이론적 증거를 제공한다.[32]

:\frac{d W_i(t)}{d t}=\frac{1}{\tau([Ca^{2+}]_i)}\left(\Omega([Ca^{2+}]_i)-W_i\right),

여기서


  • W_ii번째 입력 축삭의 시냅스 가중치이고,
  • [Ca^{2+}]는 칼슘의 농도이며,
  • \tau는 신경전달물질 수용체의 삽입 및 제거 속도에 의존하는 시간 상수이며, 이는 [Ca^{2+}]에 의존하고,
  • \Omega=\beta A_m^{\rm fp}는 또한 고정된 지점에서 뉴런의 막에 있는 수용체의 수에 선형적으로 의존하는 칼슘 농도의 함수이다.


\Omega\tau 모두 실험적으로 발견되었으며 두 가설의 결과에 동의한다. 이 모델은 실제 실험 예측에는 적합하지 않게 만드는 중요한 단순화를 하지만, 칼슘 기반 시냅스 가소성 의존성 가설에 대한 중요한 근거를 제공한다.[32]

5. 단기 가소성

단기 시냅스 가소성은 수십 밀리초에서 수 분의 시간 척도로 작용하며, 시냅스를 강화하거나 약화시킬 수 있다. 시냅스 억제(시냅스 피로)는 일반적으로 쉽게 방출 가능한 소포의 고갈 때문에 발생한다. 억제는 시냅스 후 과정과 시냅스 전 수용체의 피드백 활성화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다.[23] 이종 시냅스 억제는 별아교 세포에서 아데노신 삼인산(ATP)의 방출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24]

5. 1. 종류

신경과학에서 시냅스 가소성은 시냅스가 활동의 증가 또는 감소에 반응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강화 또는 약화되는 능력이다.[32] 기억에서 광범위하게 상호 연결된 신경 회로로 표현되는 것으로 가정되기 때문에 시냅스 가소성은 학습과 기억의 중요한 신경 화학적 기초 중 하나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헤비안 이론(Hebbian theory)을 참고할 수 있다.

단기 시냅스 가소성은 수 분에서 수 시간 지속되는 장기 가소성과 달리 수십 밀리초에서 수 분의 시간 척도로 작용한다. 단기 가소성은 시냅스를 강화하거나 약화시킬 수 있다.

단기 시냅스 강화는 시냅스 전 활동 전위에 대한 반응으로 시냅스 말단이 신경 전달 물질을 방출할 확률이 증가하여 발생한다. 각 활동 전위에 대한 반응으로 방출되는 포장된 신경 전달 물질의 양이 증가하여 시냅스는 짧은 시간 동안 강화된다.[22] 작용하는 시간 규모에 따라 시냅스 강화는 신경 촉진, 시냅스 증강 또는 사후 강도 증가로 분류된다.

6. 장기 가소성

신경과학에서 장기 억제(LTD)와 장기 강화(LTP)는 흥분성 시냅스에서 발생하는, 수 분 이상 지속되는 장기 가소성의 두 가지 형태이다.[2] NMDA 의존성 LTD와 LTP는 광범위하게 연구되었으며, 글루탐산과 글리신 또는 D-세린이 NMDA 수용체 활성화를 위해 결합해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24]

6. 1. 장기 억제 (LTD)

시냅스 가소성의 흥분성 경로를 짧게 활성화하면 뇌의 여러 영역에서 시냅스 전달의 장기 억제(LTD)라고 알려진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LTD는 최소 수준의 시냅스 후 탈분극과 시냅스 후 뉴런의 세포 내 칼슘 농도 증가가 동시에 발생하여 유도된다. LTD는 이종 시냅스 활성화에 의해 칼슘 농도가 필요한 최소 수준으로 상승하거나 세포 외 농도가 상승하는 경우 비활성 시냅스에서 시작될 수 있다. LTD를 유발할 수 있는 이러한 대체 조건은 헤비안 이론과는 다르며 시냅스 활동 변경에 의존한다. 별세포에 의한 D-세린 방출은 해마에서 LTD의 상당한 감소를 초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24] 뇌에서 소뇌는 LTD가 신경 가소성의 한 형태인 구조 중 하나이다.[28]

6. 2. 장기 강화 (LTP)

장기 시냅스 강화(LTP)는 전기 자극의 강화 펄스에 이은 시냅스 반응의 증가를 의미하며, 이는 기본 반응보다 몇 시간 이상 지속된다. LTP는 시냅스 연관을 형성하는 시냅스 후 뉴런과 특정 시냅스 전 입력 간의 상호 작용을 포함하며, 시냅스 전달의 자극된 경로에 특이적이다.[15]

해마의 시냅스에서 별세포 덮개의 변형은 LTP의 유도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는 별세포에 의한 D-세린, 산화 질소 및 케모카인, s100B의 방출과 연관되어 있다.[24]

LTP는 또한 헤브 가소성의 시냅스적 기초를 연구하는 모델이다. 유도 조건은 장기 억제(LTD)의 시작에 대해 설명된 것과 유사하지만, LTP를 달성하려면 더 강한 탈분극과 칼슘의 더 큰 증가가 필요하다.[29] 개별 수상 돌기 가시 배열을 자극하여 수행한 실험에서, 단 두 개의 인접한 수상 돌기 가시에 의한 시냅스 협력은 LTD를 방지하여 LTP만 허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0]

7. 시냅스 강도

시냅스 가소성의 변형은 기능적 가소성이라고 한다. 시냅스 강도의 변화에는 특정 유형의 신경교 세포에 대한 별개의 메커니즘이 관여하며, 가장 많이 연구된 유형은 별세포이다.[24]

8. 가소성의 계산적 이용

모든 종류의 시냅스 가소성은 서로 다른 계산적 사용법을 가지고 있다.[31] 단기 촉진은 작동 기억 및 판독을 위한 입력 매핑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기 억제는 자동 상관 관계를 제거하는 데 사용된다. 장기 기억 증강은 공간 기억 저장에 사용되는 반면, 장기 기억 억제는 공간 특징 인코딩, 시냅스의 선택적 약화 및 오래된 기억 흔적 제거에 각각 사용된다. 순방향 스파이크-타이밍 의존 가소성은 장거리 시간 상관 관계, 시간 코딩 및 시공간 코딩에 사용된다. 반전된 스파이크-타이밍 의존 가소성은 감각 필터링 역할을 한다.

참조

[1] 논문 Post-tetanic potentiation 1958-01
[2] 논문 Synaptic stability and plasticity in a floating world 2010-10
[3] 논문 Long-term plasticity at GABAergic and glycinergic synapses: mechanisms and functional significance 2002-11
[4] 서적 Neuroscience: Exploring the Brai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7
[5] 논문 Postsynaptic protein phosphorylation and LTP 2000-02
[6] 논문 Subcellular dynamics of type II PKA in neurons 2009-05
[7] 논문 Activation of CaMKII in single dendritic spines during long-term potentiation 2009-03
[8] 논문 The spine neck filters membrane potentials 2006-11
[9] 논문 Activin increases the number of synaptic contacts and the length of dendritic spine necks by modulating spinal actin dynamics 2007-11
[10] 논문 Brain plasticity and ion channels 2003
[11] 논문 Rapid spine delivery and redistribution of AMPA receptors after synaptic NMDA receptor activation 1999-06
[12] 논문 Regulation of AMPA receptors during synaptic plasticity 2002-11
[13] 논문 Homeostatic plasticity and NMDA receptor trafficking http://www.psychiatr[...] 2007-06-08
[14] 서적 Neuroscience: Exploring the Brain https://archive.org/[...]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7
[15] 논문 Balance and stability of synaptic structures during synaptic plasticity 2014-04
[16] 논문 Critical periods for experience-dependent synaptic scaling in visual cortex 2002-08
[17] 논문 Metaplasticity: a new vista across the field of synaptic plasticity 1997-07
[18] 논문 Synaptic plasticity: taming the beast 2000-11
[19] 논문 Donald O. Hebb's synapse and learning rule: a history and commentary 2005-01
[20] 논문 Syntaxin-4 defines a domain for activity-dependent exocytosis in dendritic spines 2010-04
[21] 논문 Converging evidence for a simplified biophysical model of synaptic plasticity http://physics.brown[...] 2002-12
[22] 논문 Augmentation is a potentiation of the exocytotic process 1999-01
[23] 논문 Short-term synaptic plasticity 2002-03
[24] 논문 Glia: the many ways to modulate synaptic plasticity 2010-11
[25] 논문 Mechanism for a sliding synaptic modification threshold 1995-07
[26] 논문 Synaptic plasticity: a unifying model to address some persisting questions 2011-06
[27] 논문 Activity-dependent long-term depression of electrical synapses 2011-10
[28] 논문 Physiology of Cerebellar Reserve: Redundancy and Plasticity of a Modular Machine 2021-04
[29] 논문 Long-term depression of excitatory synaptic transmission and its relationship to long-term potentiation 1993-11
[30] 논문 A spike-timing-dependent plasticity rule for dendritic spines 2020-08
[31] 논문 Atomic scale nanoelectronics for quantum neuromorphic devices: comparing different materials 2016
[32] 저널 인용 Post-tetanic Potentiation https://archive.org/[...]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